우리의 아이디어가 세상을 바꾸는 건축이 됩니다
건축학과
디자인과 테크놀로지가 어우러지는 건축의 요람
신라대 건축학과는 20·10·6·4입니다
20명 정원의 소수정예 교육
학생 한 명 한 명의 학업 성취도와 취업을 책임집니다
10㎡의 넓은 개인 작업공간
전국 건축학과 평균 1인당 설계작업공간의 두 배 이상 넓은 면적
건축학교육인증 최고등급 6년 취득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KAAB)주관, 건축학교육 인증평가 최고등급(6년) 취득
4차 산업혁명
4차 산업혁명 기술에 발맞추어 디지털 건축 및 BIM 등의 최신 설계기술력 교육
졸업 후 진로
건축사사무소
삼우건축, 해안건축, 희림건축 등
건설사
현대건설, 삼성물산 등
공기업
한국토지주택공사, 부산도시공사 등
건축직 공무원
각 시·구청 등
진학 및 유학
국내외 대학원 등
주요 취업 성과
종합건축사사무소 건원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정림건축종합건축사사무소
디에이종합건축사사무소
국토안전관리원
부산도시공사
한화건설
현대엔지니어링
대우건설
상지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디엠피건축사사무소
취득 자격증
건축기사
건설안전기사
건축사
건축구조기술사
건축시공기술사
건설안전기술사
교육과정
1학년
2학년
3학년
4학년
5학년
교수소개
백지웅
조교수 / 학과장
051-999-7623
건축설계스튜디오(Ⅲ,Ⅳ), BIM기본설계, BIM종합설계, 고급디지털건축
crom1012@silla.ac.kr
김도현
조교수
051-999-5460
기초건축설계(I, II), 건축설계스튜디오(I, II), 건축과예술
archi10000@silla.ac.kr
박현정
교수
051)999-5724
건축시공, 건축적산, 건축공학설계, 종합설계
phj@silla.ac.kr
서혜민
조교수
051-999-5711
건축설계스튜디오1/2/7/8, 삶과 건축
mini@silla.ac.kr
안상호
명예교수
051)999-5092
구조역학, 철근콘크리트구조, 건축공학설계, 종합설계
shahn@silla.ac.kr
장승재
교수
051)999-5621
기초건축설계(I, II), 건축법규, 서양건축사, 환경친화건축
sjjang@silla.ac.kr
정지영
교수
051)999-5451
건축계획·기획, 건축설계스튜디오(Ⅶ,Ⅷ)
jyjung@silla.ac.kr
황덕현
교수
051)999-5284
근대건축사, 현대건축사, 한국현대건축, 건축이론과 비평, 건축설계스튜디오(III, IV)
mediahdh@silla.ac.kr
홍지완
조교수
051-999-7622
건축환경공학, 공정관리, 산학실무프로젝트, 건축설비, 품질및안전관리, 건설공법
scolra@silla.ac.kr
권순강
강사
건축계획, 한국건축사
신수미
강사
창의공학설계
신영식
겸임교수
구조의 이해
윤정우
겸임교수
도시설계
노혜영
겸임교수
건축과 컴퓨터, 디지털건축의 이해
이상묵
겸임교수
건축설계스튜디오3,4
김민수
겸임교수
건축설계스튜디오5,6
박희영
겸임교수
서양건축사, 근대건축사, 한국현대건축
이치형
겸임교수
건축재료학, 강구조, 건축구조실험
김진아
겸임교수
건축설계실무, 실내건축
A. 1990년대에 들어서 국제사회는 세계건축사연맹(UIA)을 중심으로, 건축사 자격의 질과 내용의 동등성을 기반으로 하는 건축사자격 상호인정을 위한 협의를 시작하였습니다. 건축사자격 상호인정을 위한 검증수단으로 국가별로 다양하게 운영되는 건축사자격 시험제도에 의한 건축사자격증 자체에 있는 것이 아니라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양질의 건축교육에 있음을 인지하고, 건축사자격 취득 최소 조건으로 고등교육기관에 의한 최소 총 5년 이상 전일제 교육을 받은 사람의 수준에 부여되는 건축학 전문학위와 2년 이상의 건축실무수련 이수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이미 미국이나 유럽 등 대부분의 선진국가에서는 오래 전부터 건축사자격제도와 연계된 건축교육과정을 최소 5년 이상으로 운영하고 있기 때문이기도 합니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도 이러한 국제사회의 변화와 요구에 대응하기 위하여 2002년부터 최소 5년제 학부 학위 또는 2년제 이상 대학원 건축학 전문학위 교육과정으로 개편하여 시행하고 있으며, 건축사자격 취득 조건으로 인증 받은 교육과정 이수 및 실무수련 기간은 최소 3년을 적용하는 건축사법을 개정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A. 일반적으로 일반학위는 개인의 관심과 목적에 따라 심화된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술연구 중심의 교육과정이며, 전문학위는 전문직종의 전문자격증과 연계된 전문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입니다. 의학, 법학, 건축학 등이 전문학위과정에 해당하며,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보장하기 위해 높은 전문성과 도덕성이 요구되며 아울러 행위에 대한 책임이 따르기 때문에 관련 자격증은 국가의 관리, 감독을 받게 됩니다.
국내 대학에서 건축관련 학과는 4년제 건축공학과, 4년제 건축학과 또는 건축디자인학과, 5년제 건축학과 등 다양한 명칭으로 운영되고 있지만, 5년제 건축학과(학부/전공 등)는 건축사자격제도와 연계된 전문학위과정이며, 대학원의 경우는 일반학위과정과 전문학위과정으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A. 인증제도란 제품이나 서비스 등을 공인기관이 사전에 사회가 합의한 표준기준으로 평가하고, 그 품질의 우수성을 인정해주는 제도입니다. 대학교육에서의 인증제도는 교육기관의 교육내용에 대해 전문가 입장에서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조언해줌으로써 교육기관이 지속적으로 우수한 교육의 질을 확보/유지할 수 있도록 하며, 전문자격제도와 관련하여 국제적/사회적 요구에 의해 변화해가는 전문직종의 실무내용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합니다.
A. 건축사법 개정 이전에는 고등학교, 전문대학, 대학교에서 건축 관련분야를 전공한 사람이 건축관련 직종에서 일정기간 이상 일한 경력이 있는 사람 모두에게 건축사자격 시험 기회를 부여하였습니다. 그러나 개정 건축사법(2011년 5월 개정, 2012년 5월 시행)은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의 인증을 받은 5년제 이상 건축학교육 전문학위 과정을 졸업하고 건축사사무소에서 등록 건축사의 책임 하에 3년의 실무수련을 받아야 건축사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는 전문자격제도의 틀을 마련하여 2012년 5월부터 시행중입니다.
A. 개정 건축사법은 한국건축학교육인증원이 인증한 건축학교육 전문학위과정을 졸업하여야만 실무수련자격이 부여되고 실무수련기간을 만족해야 건축사자격 시험에 응시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전문대학 건축학과에서 재학 또는 졸업한 사람은 인증 받은 5년제 전문학위과정으로 편입하여 졸업해야 하고, 4년제 대학 졸업자는 인증 받은 대학원 전문학위 과정에 진학하여 졸업하면 실무수련자격 취득 및 건축사자격시험 응시자격을 가지게 됩니다.